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7

현금영수증, 휴대전화번호로 받고 있다면?

현금영수증이 제대로 발급되고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게 좋아요. 국세청 홈택스에서 휴대전화번호를 현금영수증 발급 수단으로 등록하지 않았으면,사용내역이 박지만님에게 귀속되지 않거든요. 그럼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없어요. 현금영수증으로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근로소득자는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신용카드 등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어요. 각종 카드와 현금영수증으로 쓴 돈의 합 중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금액을 소득공제해주는데요.현금영수증의 소득공제율은 30%로 신용카드 15%의 2배예요.근로자 본인뿐 아니라, 연말정산 시 기본공제를 적용받는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이 사용한 금액도합산해서 공제받을 수 있어요. 단, 마찬가지로 국세청 홈택스에 휴대전화번호가 현금영수증 발급 수단으로 등..

경제지식 2025.04.01

뱃속의 태아도 상속받을 수 있을까?

상속이 시작된 후 피상속인의 재산을 법적으로 승계받는 사람을 상속인이라고 해요. 우리 법에 따르면 상속 개시 시점에 살아있는 사람만 상속인이 될 수 있는데요. 예외적으로 아직 태어나지 않은 뱃속의 태아에게도 상속인 자격을 인정해요. 자세한 내용을 알려드릴게요. 태아가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보기 때문이에요  민법은 상속에 관하여 태아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고 명시하고 있어요.태아는 상속 개시 시점에 살아있는 사람이 아니지만예외적으로 출생한 것으로 보아 상속인 자격을 인정하는 거예요.이는 태어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상속에서 배제하면출생 이후 불합리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에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의 의미는? 해제조건설과 정지조건설로 학설이 나뉘는데요.우리 대법원은 정지조건설을 취하고..

경제지식 2025.04.01

1인당 쌀 소비량이 역대 최저로 떨어졌어요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55.8kg으로 전년 대비 1.1%(0.6kg) 감소했어요. 반면 가공식품 원재료로 쓰이는 양은 크게 늘었는데요. 정부는 쌀 과잉생산을 막겠다며 쌀 재배면적을 줄이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어요. 자세한 내용을 알려드릴게요.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40년째 감소하는 추세예요특히 우리 경제가 성장 가도를 달리던 1990년대 들어 쌀 소비량이 빠르게 감소하기 시작했어요.1998년 처음 100kg 아래로 떨어졌고, 2019년부터 50kg대에 머물고 있어요.1인당 하루 쌀 소비량으로 보면 지난해 152.9g으로 전년 대비 1.1%(1.7g) 감소했어요. 즉석밥의 일반적인 용량이 200~210g 정도이니,우리나라 사람들이 보통 하루에 밥 한 공기 정도만 먹는다고 볼 수 있어요. 가공식..

2025년 연간 세금 일정

연간 세금 일정을 미리 알아두면 미납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자금을 관리할 수 있어요. 2025년 한 해 동안 내야 하는 세금 일정을 정리해드릴게요. 1월 - 자동차세(1월 16일 ~ 1월 31일)자동차세는 지방자치단체 관할구역에 등록•신고된 자동차에 대한 세금이에요. 자동차세는 6월, 12월에 나누어 내는데요. 1년 치 자동차세를 한 번에 내면 3% 할인받을 수 있어요. 3월, 6월, 9월에도 선납할 수 있지만, 1월에 하는 게 할인이 가장 많이 돼요. 2월 - 연말정산연말정산은 직장인이 한 해 동안 납부한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예요. 결과에 따라 더 낸 세금을 돌려받거나 덜 낸 세금을 내야 해요.연말정산 결과는 2월 급여에 반영돼요. 5월 - 종합소득세종합소득세는 근로소득 외에 금융소득, 사업소득, 연금..

경제지식 2025.02.20

식비 이렇게 줄여요 (식비 줄이는 법)

외식 물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어요.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21.01로 전년 117.38보다 3.1% 상승했어요. 3년 연속 상승세예요.이에 식비 부담을 줄이는 다양한 방법이 유행하고 있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밀프렙(Meal Prep)으로 재료비 아껴요  여유 시간이 있을 때 일주일 치 식사를 미리 준비해 두는 거예요. 최근 SNS에서 만드는 방법, 인증 등이 유행하고 있어요.도시락을 싸는 것과 다른 점은요,식재료를 대량으로 구매해 재료가 비슷한 메뉴들로 밀프렙을 하기 때문에 식재료비를 아낄 수 있다는 거예요. 평일에는 데우는 등 간단한 조리만 해 먹을 수 있어 시간을 아낄 수 있고요. 식사 대용식으로 간단히 해결해요  식당 대신 편의점에서 가볍게 식사를..

경제지식 2025.02.20

전자담배와 소주 가격이 오를 수 있어요

담뱃세와 주세를 개편하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요.담뱃세는 액상형 전자담배로 품목을 확대하고요.주세는 소주에 세금 매기는 방식을 바꿀 예정이에요.어떻게 바뀌는 건지, 가격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지 살펴볼게요.담배는 어떻게 바뀌어요?액상형 전자담배에도 담뱃세를 부과할 예정이에요. 원래 합성 니코틴으로 만든 액상형 전자담배는 담배로 분류되지 않았어요. 이 때문에 세금도 세금이지만 청소년 판매 등에 대한 규제도 되지 않는다는 점이 지적돼 왔어요.이번 담배사업법 개정안으로 담배 범위가 액상형 전자담배로 확대되면,액상형 전자담배에도 담뱃세가 부과돼요. 단, 개정안이 통과해도 과세는 6개월 유예한다는 방침이에요. 청소년 판매는 바로 불법이 되고요. 술은 어떻게 바뀌어요? 현재 소주를 종량세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에..

경제지식 2025.02.20

이혼 위자료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이혼을 할 때 유책 배우자에게 정신적 고통에 대한 금전적 배상을 청구할 수 있어요. 이것을 위자료라고 하는데요. 위자료는 어떻게 산정되는지,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위자료 산정 기준은요위자료는 이혼 경위, 혼인관계 파탄의 원인과 책임, 재산 상태, 생활 수준, 연령과 직업, 자녀 유무 등모든 사정을 종합하여 산정돼요. 그렇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금액이 정해져 있지 않고 그때그때 금액이 달라져요.위자료는 보통 1,000만원에서 3,000만원 사이에서 결정돼요. 이보다 높은 금액을 청구해도 보편적으로 법원이 3,000만원 내외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상간, 폭행 등으로 이혼하면 위자료 얼마나 받을까?상간, 폭행 등으로 이혼하는 경우 부정행위의 정도와 기간 등이 추가로 고려돼요. 부정..

경제지식 2025.02.20

상속도 포기할 수 있을까?

피상속인의 빚이 재산보다 많을 경우 상속인은 상속받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는데요. 이 때 상속포기 신청을 할 수 있어요. 상속포기란?상속포기란 채무와 재산을 모두 물려받지 않는 것으로 상속인 지위 자체를 포기하는 거예요.상속포기 신청은 상속이 시작된 것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가정법원에 청구해야 해요. 이 기간을 놓치면 상속포기 신청할 수 없어요.또한 상속포기를 할 때는 원하는 부분만 정해서 포기할 수 없어요. 상속재산 전부를 포기하는 것만 가능해요. 재산만 상속받고 싶다면?한정승인 제도를 활용할 수 있어요. 한정승인은 재산은 상속받되, 채무는 상속재산의 한도 내에서만 책임지는 거예요. 상속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상속 자체를 전면 포기하는 상속포기와 차이가 있어요.빛과 재산 중 어느 것이 더 많은지..

경제지식 2025.02.20

해외에서 번 돈도 소득세 내야 할까?

국내 거주자라면 해외에서 번 돈에 대해서도 소득세를 내야 해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우리나라 소득세법납세자의 국적이 아닌 거주 여부에 따라 납세의무를 구분해요.• 거주자 : 전 세계에서 발생한 소득• 비거주자 :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이때 거주자는 국적과 상관 없이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의 거소를 둔 개인을 뜻하는데요.국내에 183일 이상 거주해야 하는 직업이 있거나, 국내에 가족이 있고183일 이상 거주할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도 거주자로 봐요.단, 이중과세를 막기 위해 외국납부세액공제라는 제도가 있어요. 소득이 발생한 국가에 낸 세금이 있다면 공제해 주는 거예요.

경제지식 2025.02.20

ISA,연금계좌 등 절세 계좌 혜택이 줄어요

외국납부세액공제에 주어지던 세금 혜택이 올해부터 바뀌기 때문이에요. 어떻게 바뀌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외국납부세액공제란?해외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이미 낸 외국 세금을 국내 세금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예요. 이중과세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됐어요. 선 환급 후 원천징수를 하는 식으로 세금을 공제해 줬어요.예컨대 미국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에서 분배금을 받는다면 미국 정부가 배당소득세를 원천징수할 텐데요. 국내에서는 국세청이 해당 펀드에 먼저 환급을 해주고,투자자가 분배금을 받을 때 국내 세율에 맞춰 다시 원천징수를 했어요. 올해부터 어떻게 바뀌어요?선 환급해 주는 게 사라지고,해외와 국내의 원천징수 세율 차이에 따른 차액만 추가 징수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요.예를 들어 해외 배당소득세가 10%이고, 국내 배당소..

경제지식 2025.02.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