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식

장례 비용, 얼마나 들까?

투지이 2024. 11. 1. 11:13
728x90
반응형

 

언젠가는 치뤄야할 장례식

보통 얼마나 들까요?


2015년 한국소비자원 장례 비용 통계에 연도별 물가상승률을 적용하여 계산했을때

작년 기준 장례를 치르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은 1,800만원이에요.

 

준비 없이 맞이하면 당황스러울 수 있는 금액인데요.

장례에 어떤 비용이 드는지, 부담을 줄이는 방법은 없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장례시 비용이 많이 드는 3가지 요인


첫번째. 장례 서비스 비용


사망이 발생했을 때 추모하는 과정 전체를 도와주는 비용이에요.

월납입 선불 시장에서는 평균 500만원 정도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어요.

규모 및 비용에 따라 장례지도사와 접객도우미, 차량 등이 제공돼요.


두번째. 장례식장 비용


먼저 빈소, 안치실, 입관실 등 시설 비용이 들어요.

단, 같은 장례식장이라도 규모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요.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 빈소는 하루에 최소 45만에서 최대 355만원이에요.

보통 삼일장을 치르니 최소 100만원대에서 최대 1,000만원 이상도 들 수 있는 거예요

그 외에도 조문객 접대 음식과 제단 꽃, 제수 음식 등 다양한 비용이 들어요.

 

가장 큰 건 조문객 접대 음식 비용인데요. 보통 1인당 2~3만원이에요.

장례식은 규모에 따라 가족장과 일반장으로 나누는데, 그 기준이 조문객 100명이에요.

접대 음식 비용으로만 200~300만원 이상 든다고 보면 돼요.


세번째. 장지 비용


장묘 방법에 달라져요.

화장하면 봉안함, 안치 비용 및 관리비가, 매장하면 봉분, 석물 등의 공사 비용이 발생해요.

 

장례 비용 부담을 더는 2가지 방법


첫번째. 장례비용을 상속재산가액에서 차감할 수 있어요.


장례에 직접 쓰인 비용은 최대 1,000만원, 장지 비용은 최대 500만원까지 차감돼요.

최대 1,500만원까지 상속세 계산에서 공제되는 거예요.

지출증빙이 필요해요.


두번째. 미리 상조에 가입하면 가격이 오르지 않아요

 

상조에 가입하면 매달 3만원 정도의 납입금을 내야 하는데요.


상조는 선납 개념이기 때문에, 장례가 발생하면 가입 당시 가격으로 비용을 낼 수 있어요.

장례 비용은 보통 1년에 3~5% 오르니 빨리 가입할수록 유리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