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어요!
1인가구가 늘면서 점점 더 많이 늘어나는 추세인데요
정부가 반려동물보유세를 검토한다고 해요!
앞으로 5년간 동물복지와 관련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로 반려동물 보유세를 검토해요.
왜 반려동물 보유세를 검토하는거죠?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은 2,000만 전체 가구 수의 15%인 300만 가구에 달해요.
자연스럽게 반려동물 유기 문제, 개 물림 사고 등 관련 사회적 비용이 갈수록 늘어요.
이런 비용을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들이 좀 더 내야 한다는 게 이유예요.
사고가 얼마나 많이 나나요?
실제로 유기 동물 보호센터 운영 비용이 매년 300억원 정도 들어요.
개 물림 관련 사고는 한해 2,000건 정도 발생해요.
이에 하루 6명 정도가 구급차를 타는 상황이고요.
현실성이 있을까요?
쉽지 않아요
가장 큰 문제는 세금을 걷기가 쉽지 않다는 거예요.
지금도 반려동물을 꼭 등록하도록 반려동물 등록제를 의무화했지만, 등록률이 70%에 불과해요.
등록하지 않으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는데도 등록은 안해요.
시골에서는 등록률이 더 떨어지고, 반려묘는 아예 의무 대상이 아니에요.
이처럼 반려동물 등록제 시행도 제대로 안 되는 상황에서 보유세를 제대로 걷을 수 있겠느냐는 거예요.
오히려 행정 비용만 더 들 거라는 지적이 나와요.
다른나라는 어때요?
독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이 연간 10만~20만원 정도의 반려동물 보유세를 걷어요.
일본은 반려동물 보유세를 걷지 않는 대신 반려동물 공급자한테 좀 더 높은 세금을 부과해요.
반려동물 사료에 소비세를 추가로 부과하기도 하고요.
단, 이런 식으로 공급 시장에 세금을 부과하면 유통 가격이 뛸 수밖에 없어요.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들이 책임감을 좀 더 가지고,
더 나은 우리나라가 되길 기대해보자구요.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보증하는 대출! (15) | 2024.09.26 |
---|---|
내가 내는 보험료 적당할까요?? (22) | 2024.09.26 |
미국 기준금리가 내려갔다! (빅컷) (9) | 2024.09.24 |
헬스장 결제할때는 신용카드 할부로? (35) | 2024.09.22 |
부모의 신용카드, 자녀가 쓰면 불법? (10) | 202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