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연시 기간을 노려 연말정산, 세급 납부, 각종 지원금 신청 등의 내용으로
메일을 보내는 피싱 범죄가 급증하고 있어요.
이들은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을 사칭해 첨부파일 다운로드나 URL 링크 접속을 유도해요.
자칫 잘못하면 민감한 금융 정보까지 유출될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게 좋아요.
어떻게 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연말연시 기간을 교묘히 악용해요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가산세 안내, 2024년 연말정산 확인 등
연말연시에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의 메일을 보내요.
메일 속 '확인하러 가기' 버튼을 누르면 국세청 등 정부 웹사이트를 모방한 가짜 웹사이트로 연결돼요.
가짜 웹사이트에서 로그인 등을 시도하는 순간 개인 정보와 금융 정보가 탈취되는 거예요.
가짜 웹사이트는 보안 인증창을 띄우는 등 정교하게 만들어져 실제 웹사이트와 구분이 매우 어려워요.
가짜 청구서를 보내기도 해요.
실제 전기요금 청구서와 똑같이 생겼지만, 누르면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링크가 실행되는 식이에요.
이 밖에도 건강검진 수요가 많은 연말 기간 특성을 이용해 대형 병원을 사칭한 메일을 보내기도 해요.
피해를 막으려면 어떻게 하나요?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을 받았다면 첨부파일이나 이미지, 링크를 절대 누르지 마세요.
나와 관련이 있거나 익숙하다고 느껴지는 내용이라도요.
곧바로 메일을 삭제하는 게 가장 좋고, 링크에 접속한다면 공식 사이트 주소와 같은지 꼭 비교해 봐야 해요.
특히 국세청은 종합소득세 신고 및 장려금 신청과 관련해 송금을 요구하거나
계좌 비밀번호, 카드 번호, 인터넷 뱅킹 정보 등을 요구하지 않아요.
발신자 정보가 실제 공공기관 주소처럼 보이더라도 피싱 메일의 가능성이 있으니 의심해야 해요.
만약 실수로 링크에 접속했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했다면 즉시 관련 기관에 피해 신고를 하세요.
보이스피싱 통합신고• 대응센터(112)나 각 금융회사 콜센터 등을 통해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 구제를 신청해야 해요.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연장근로 수당이 인상될 수 있다? (1) | 2025.01.07 |
---|---|
기부금 공제, 부양가족이 낸 것도 받을 수 있어요 (1) | 2025.01.07 |
청약 때 무주택자 조건이 대폭 완화돼요 (2) | 2025.01.07 |
숨은 보험금&카드포인트 간단히 찾을 수 있어요 (1) | 2025.01.07 |
상조업체가 폐업하면 내 돈은 어떻게 될까? (4)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