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혜택이 늘어나요! (2024년 하반기)
청년도약계좌가 출시 1년만에 가입자 133명을 돌파 했어요!
이에 정보는 청년도약계좌에 성실히 납입한 청년을 대상으로 혜택을 늘리기로 했는데요
어떻게 신청하는지, 얼마나 더 좋아지는지 알려 드릴께요!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이에요. 5년 동안 70만원씩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어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매월 신청받아요. 9월 신청 기간은 2일부터 13일까지예요.
• 신청 조건: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해요
- 나이: 가입일 기준 만 19세~34세 이하*
* 군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인정
• 개인소득:
1) 전년도의 소득이 7,500만원 이하인 경우
2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급여, 투자로 번 돈 등 총소득을 계산할 때 합쳐서 고려해야 하는 모든 소득을 의미
• 가구소득: 기준 중위 250% 이하인 경우
*전년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년도 소득으로 인정
• 금융소득종합과세*: 가입일이 속한 연도부터 최근 3년 동안 한 번도 금융 소득으로 인해 세금을 내지 않은 경우
* 금융소득엔 이자, 배당 소득 등이 있음. 금융소득이 2천만원 초과한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를 부과하는 것을 말함
가입 절차
1.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은행*을 통해 가입 신청을 받아요.
*농협, 신한, 하나, 우리, 국민, IBK기업, IM뱅크(대구), 부산, 경남, 광주, 전북
2. 신청 후 약 2주 동안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심사를 진행해요.
3. 심사를 통과했다면 다음 달 초 계좌가 개설되고 신청한 은행 앱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유의 사항
•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는 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할 수 있어요.
•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할 수 없어요.
앞으로 이런 혜택이 추가돼요
• 신용 점수를 올릴 수 있어요
-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원 이상 납입하면 신용 점수*를 5~10점 추가
*NICE, KCB 기준
• 원스톤 청년 금융 컨설팅센터를 만들어요
- 전문가의 건실딩 서비스, 금융 강화 등 금융 콘텐츠를 제공
• 부분 인출이 가능해져요
- 2년 이상 가입자 대상으로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 이내로 부분 인출이 가능해요.
- 부분 인출에 대한 이자, 이자소득세 부과 및 정부 기여금 지급 기준은 중도에 해지한 경우와 동일해요.
• 앱 개선 및 금융 정보 제공을 강화해요
- 은행 앱의 사용자경험(UX)을 더 간편하게 개선해요.
- 청년도약계좌 SNS 개설, 가입자 대상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요.
더 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https://ylaccount.kinfa.or.kr/main) 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위아래와 같이 자세히 알수있답니다.
콜센터는 1397번으로 상담할 수 있어요!
더 좋은 내용으로 돌아올께요~